![]() < 석굴암 > * 내용에 대한 언급 있습니다. EBS에서 석가탄신일을 맞아 1965년 영화 <대석굴암>을 방영하였습니다. 소재는 분명 불교영화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건 불교영화라기보단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하는게 너무 티나더군요. 그런 주제전달은 좀 은근하게 전달해야 감동도 크고 전달력도 큰데, 이건 대놓고 이야기하니 좀 낯간지러운 느낌이 있어요. 왜구의 침략을 막기위해 군사력을 증강해야한다는 주장과 '불심으로 대동단결'하여 국난을 막자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경덕왕은 석불사를 완공하자는 결정을 내리지요. 여기에서의 주제의식은 겨레의 혼을 하나로 모아 국난을 막아내자는 계몽적인 내용입니다. 부처님을 모시는 것에 상징성을 부여하고 있는게 핵심이지요. 그러나 이들은 주인공이 아닙니다. 주인공은 신성일과 엄앵란 커플이 연기하는 '아비루'와 '목련아기'인데요. 이들이 맡고 있는 부분은 당연히 로맨스....'신분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유력자제과 예정된 혼약', '모함으로 인한 파국', '공로를 인정받아 국왕으로 허락으로 재결합' 뭐 이런 흔한 구조입니다. 당시 신-엄 커플은 신혼(1964년 혼인)이었으니 그것으로 관객몰이를 하려는 것도 좀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본존불을 쪼고 있는 아비루 > <대석굴암>은 흔치 않은 신라를 다루는 영화이고, 의상이나 소품이 화려하며 엑스트라도 엄청나게 많습니다. 출연배우들도 쟁쟁하지요. 신-엄 커플말고도 박노식, 허장강, 남궁원 등 유명배우들이 출연합니다. 그런데 내용이 너무...너무 허접합니다. -ㅠ-;;; 줄거리 전달은 따라갈 수 는 있는데, 애초에 시나리오가 잘못되었는지, 편집이 영 엉망입니다. 한가지 예를 들면 허장강(이분은 항상 악역만;)의 모함으로 대공화랑(박노식)과 혼약하기로 된 상대등의 여식인 목련아기(엄앵란)와 석불사 본존불을 조성하는 석장 아비루(신성일)의 애정행각이 들통나서 목련아기는 우산섬;으로 유배당하고, 아비루는 사형에 처하게 되는데요. 나무기둥에 눈을 가리고 묶인 상태로 화살로 쏘는 형(총살형이 연상됨;)을 받습니다. 다른 사형수들이 화살에 맞아 차례차례죽어가는데 갑자기 장면이 전환되면서 경덕왕이 어떻게 된 일인지 허장강의 비행을 알게 되고(아비루를 모함하기 위해 본존불 코를 깨뜨림) 화를 내면서 아비루의 사형을 면하게 하는데...그 과정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허장강이 그 뒤로 어떻게 되는지도 나오지도 않고..; 어쨌든 급사가 당도해 아비루가 화살에 맞을 차례에 겨우 구한다는 것인데, 이런 중요한 장면에 긴장감이 하나도 없습니다; ![]() < 신라를 침략해오는 왜구의 상륙 > 제작비는 많이 들었을것 같습니다. 1965년작이라는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엄청 대작입니다. 왜적이 배를 바다에 대고 상륙하는 장면(작은배지만 어쨌든 실사)도 나오고 그에 맞서 싸우는 신라군도 나오는데, 이 규모가 MBC의 다물군과는 비교를 거부하는 거대한 스케일을 보여주거든요. 수백명이 뛰어다니니 일단 화면이 가득차지요. 액션이 좀 구식이긴 하지만, 상당히 공을 들였다는 것은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고증문제에서는 자유로울 수 가 없습니다. 추가로 박노식이 연기하는 중년 화랑(..)도 좀 그렇긴 합니다만, 이런건 그러려니 해야죠; 최수종도 그런식으로 연기한 바 있고, 가까이로는 권상우가 학도병으로 나오고 있으니...; 근데 전투장면을 보고 있노라면, 당시 우리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의 영향을 엄청나게 받았구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배경음악이 아무 웅장하여 마치 20세기 중반의 미국영화를 보는 듯 하거든요. 눈감고 있으면 이건 왠 '로마영화'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압박이 심합니다. 오케스트라를 방불케하는 장중한 관현악...어떤 음악은 '발키리의 비행'이 연상되기도 하고요. 신라배경이 무색할 정도로 서양식의 북소리와 나팔소리가 장중하게 울려퍼집니다. (그래도 슬픈장면이나 궁중연회장면에서는 국악이 쓰이긴합니다. ) 사람과 말이 막 뛰어나니는 가운데 음악을 듣고 있노라면 막 <벤허>, <스파르타쿠스> 같은 '기독성화'같은 느낌이 듭니다. 뭐..이쪽도 불교영화이니까 이것도 성화는 성화이긴하지만...; 음악도 음악이지만 결정적으로 전투장면에서 신라화랑이 무려 '전차'를 타고 나오기까지 합니다. ㅠㅠ; 전차에 올라타서 검을 휘두르는 신라 화랑이라니...ㅠㅠ; '로마영화'에서 전차장면만 나오면 뒷배경은 모두 합성인데 반해 이 영화는 모두 실사촬영이라는 것에서 차이가 있긴하네요. ![]() < 무술경연에서 멋진 기사실력을 발휘하는 아랑화랑(남궁원) > * 당연하게도(?) 국궁의 활시위 잡는 방식으로 나옵니다. 솔직히 감탄했지요. 전차를 타고 무용을 과시하는 신라 화랑도 발해군을 물리치고 난 직후, 막바로 왜구와 맞서 싸우려들다보니 전투력소모가 많아 끝내 이겨내지 못하고 전사하고 맙니다. 기세가 오른 왜구는 계속하여 쇄도하고 금성은 위기를 맞습니다. 전투는 야간까지 이어지고 최후의 결전이 벌어지는 순간, 한 줄기 광채가 금성을 비춥니다. 석장 아비루가 본존불을 완성한 것이지요. 부처님 이마 한가운데에, 백호를 넣는 것으로 완성한 것인데, 이것은 복선으로 언급됩니다. 마침내 신라군은 왜적을 물리치는데 성공합니다. 근데 앞서 이야기했지만, 편집이 너무 허술해서 본존불 완성으로 왜적을 물리쳤다는 인상은 너무 약합니다. 오히려 위기의 순간 노신들이 구국충정으로 전장에 뛰어든 것이 승리의 원인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개연성이 약합니다; '부처님의 광채를 보아라, 불심깊은 우리 신라군이 승리하라라' 따위의 사기를 올리는 식의 언급이라도 있으면 그런가보다 하겠는데, 그런건도 없어서 그냥 우연히 그 때 신라군이 승리한 것 같기까지 합니다. 이런식으로 승리를 부처님의 덕으로 돌리면 부처님께 폐가 되는게 아닐지; ![]() < 모든 것이 부처님 덕분입니다. > 어쨌든 경덕왕은 본존불을 완성한 아비루를 크게 치하합니다. 아비루를 '진골'로 편입시키겟다며하며 온갖 칭찬을 하는데, 아비루는 모든 공로를 '스승'(석불사 조성을 마치지 못하고 도중 세상을 뜸)의 덕으로 돌리는 겸양을 보이자, 경덕왕은 이를 받아들여 스승을 '진골'로 올립니다. 이걸로 해결되는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스승의 딸인 '별 아기'는 이미 아랑화랑(남궁원)과 정을 통해 아이를 밴 상태인데, 신분차로 인해 곤란을 겪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스승을 진골로 올림으로 해서 아랑화랑과의 혼인을 허용하게 하고 아이도 인정받게 되는 것지요. 경덕왕은 그 문제를 해결(?)하고, 아비루의 겸양을 크게 칭찬하여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합니다. 여기서도 전형적인 착한 캐릭터인 아비루는 '목련아기'와 맺어달라는 말은 하지않고 그저 '죄없는 목련아기씨'를 풀어달라는 청만 올립니다. 경덕왕은 짐짓 위엄을 차리며 국법을 어기고 평민이 진골과 어울린 것을 다시금 언급하며 죄를 물어야겠다며 예전에 목련아기를 처벌하는데 앞장섰던 왕비에게 이들의 처우를 묻습니다. 왕비는 엄숙한 목소리로 '아비루의 죄를 물어 우산섬으로 유배를 보내야한다'며 말하고 왕은 왕비의 지혜로운 처사에 웃음을 터뜨립니다. 당연히 마지막 장면은 바닷가에서 아비루와 목련아기와 재회하는 것으로 끝납니다. 해피엔딩. 해피엔딩. 1980년대 이후 불교영화는 대부분 현대인에게 철학적인 화두를 제시하는 경향이 강한데, 예전의 불교영화는 불교역사, 설화물이 많았지요. 부처님의 일생을 다룬다거나, 목련존자가 아귀도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하는 이야기 등으로요. 이국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의 불교영화가 과거엔 많이 제작되었고, 불교계에서 제작지원을 하기도 했지요. 뭐 확실히 요즘은 불교계에서 이런 영화제작에 지원할 것 같지도 않긴합니다. 불교신도들도 별로 반길 것 같지는 않으니 흥행도 어려울테고요. 오히려 요즘은 할리우드에서 불교역사물을 많이 만든것 같네요. 영화소재로 불교설화쪽도 상당히 괜찮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좀 아쉽습니다. 네이버 웹툰 <신과함께>가 각광받는 것도 우연이 아니죠. * 부처님 눈썹사이에는 흰 털이 있었다는 것이 부처님 이마 한 가운데에 백호(白毫)를 넣는 이유입니다. 불상에서는 대부분 보석으로 차별화하지요. 백호을 넣어야 완성된다는 아비루의 대답을 들을 때와 한 줄기 광채가 금성쪽으로 향할 때 살짝 <원스 어폰어 타임>의 '동방의 빛'이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석굴암 본존불은 동해에서 해가 떠오르면 그 빛을 받아 그 광채로 석굴암 내부가 환하게 빛난다고 하지요. 하지만 지금은 유리벽에 가로막혀 그런 경이로운 장관을 볼 수 없다고 하니 좀 안타깝습니다. 대석굴암 방송일: 2010년 5월 23일 감독: 홍성기 출연: 신성일, 엄앵란, 박노식, 남궁원 1965년 작 90분, 컬러 15세 줄거리: 신라 경덕왕 시절, 잦은 왜구의 침입으로 국정은 혼란에 빠진다. 왜적의 침공을 막기 위해 수륙양군의 양성을 주장하는 대공(김승호)과 불심을 통해 국난 극복을 주장하며 석굴암의 완공을 서둘러야 한다는 상대등(김동원)의 의견이 대치한다. 왕은 국난 타개를 위해 겨레의 혼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며 석굴암 창건에 힘쓴다. 상대등의 딸 목련아기(엄앵란)는 불공을 드리기 위해 불국사에 갔다가 석굴암을 짓는 석장 아비루(신성일)에게 반하게 되고, 둘은 신분의 차이를 뛰어넘는 사랑을 한다. 하지만 둘의 사랑은 발각되어 국법을 어긴 죄로 목련아기는 유배되고 아비루는 사형의 위기에 처한다. 아비루의 능력을 아까워하는 왕은 아비루를 살려주어 석굴암 완공에 매진케 한다. 석굴암이 완공되는 날, 신라군은 왜군의 침입을 물리치게 된다. 왕은 아비루의 공을 치하하고 목련아기와의 만남을 허락한다. 주제: 석굴암 완공의 역사적 사실을 극화하여 만든 작품이다. 작품 속 왕의 발언을 빌리자면 석굴암 건설은 ‘겨레의 슬기로운 얼을 자손만대에 알리는’ 행위이다. 여기에는 국가의 위기가 민족혼을 모으면 극복될 수 있다는 바람이 담겨있다. 영화는 부국강병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군대를 통한 강병책보다는 민심의 일치단결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석굴암 완공 전 목련 아기와 아비루의 사랑이 어긋나는 것은 나라의 평안 없이는 개인의 행복도 보장받을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일회담에 대한 거센 반대운동이 한창이던 1965년 초에 등장한 이 영화는 ‘왜구’로 상징되는 일본에 대한 당대 대중들의 증오와 불안감을 드러내는 동시에 민족의 합심을 통해 이러한 위기적 상황을 타개할 수 있다는 의지를 역설하고 있다. 감상포인트: 신라군과 왜구의 전투 장면의 구성이 흥미롭다. 위기와 극복의 스펙터클로서 반복되는 전투장면은 해상과 지상을 가리지 않는다. 석굴암의 완공과 더불어 신새벽이 열리고 기세등등하게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는 일련의 장면은 장엄함이 돋보인다. 한편 이 영화는 멜로 라인에도 충실하다. 1964년 <맨발의 청춘>으로 스타덤에 오른 신성일과 엄앵란 콤비가 사극에서도 빛을 발하고 있는데, 고독한 예술가로 분한 석장 아비루(신성일)의 마음을 얻기 위한 목련아기(엄앵란)의 적극적인 애정 공세가 극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신라 시대의 화려한 의상이나 궁중 의례 등의 볼거리는 컬러 영화의 장점을 십분 발휘하고 있다. 감독 1924년 충북 중원 출생. 만주 국립영화학교 연출과 졸업. 19세에 일본영화 시나리오 현상 모집에 <파문>이라는 작품으로 당선. 일본 시대극으로 유명한 우찌다 도무 감독 밑에서 조감독 생활을 하다 해방 뒤 고려영화사에 입사한다. 최인규 감독의 <자유만세>의 연출부로 일했다. 국내 최초의 컬러 영화인 <여성일기>(1949)로 감독 데뷔한다. 전형적인 멜로드라마를 주로 만들었으며, <열애>(1955), <실락원의 별>(1957), <별아, 내 가슴에>(1958), <길은 멀어도>(1960) 등을 연출했다. <별아, 내 가슴에>에서 김지미를 만나 결혼에 이르게 된다.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초까지 많은 작품을 흥행시켰으며, 주로 상업적인 멜로드라마를 연출하여 전후 혼란 속에서 위안거리를 찾던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러나 신상옥·최은희의 <성춘향>과 맞붙어 화제를 모았던 <춘향전>의 흥행 참패 이후 이렇다 할 흥행작을 내놓지 못했으며, 세간에 관심을 모았던 김지미와의 결혼도 파경에 이른다. 27편의 작품을 연출했으며, 1986년 고혈압으로 쓰러진 뒤 2001년 타계했다. ![]() ![]() ![]()
|
라이프로그
~_~
카테고리
전체
■ 여긴 꼭 보세요 ■ 水去一人生 ■ 마음의 양식 ■ 주말의 명화 ■ 게임의 법칙 ■ 가뿐한 외출 ■ 권하는 사회 ■ 즐거운 취미 ■ Marine Corps ■ 거짓말이지만.. ■ 먹는게 남는 것 ■ 내마음속자전거 ■ 메흔디의 친구들 ■ 출처는 모르지만.. ■ 다른게 또 뭐있나.. 이글루 파인더
최근 등록된 덧글
그래서 무슨 말을하고 ..
by jamba at 01/05 이런 글 보면 ㅈ문가 까는.. by 꼬잉꼬잉 at 08/27 어..... 그러니까 르.. by 몬쓰 at 06/30 쇠좆매 만드는 집안에서.. by 정릉동해적왕 at 04/05 공군 베레모부대는 최정.. by 조국은그대를믿는다 at 12/26 찾아보니 1980년 8월 27일에.. by 홍쌈바 at 09/25 ??? : 1킬 추가! 그래도 이.. by 瑞菜 at 09/08 최근 등록된 트랙백
이글루링크
Ideas worth passing..
즐거운 부엌 [이불을 걷자] 구구한.. 평범한 블로그 잠보니스틱스 Extey Style 天體觀測 A River Runs Through It 花綠靑 茶房 本店 無限雜談空間 XXX, 사람 - 사라져버.. 루리도의 상관없는 이야.. Monte Cristo the Musi.. 게임회사 이야기 明과 冥의 경계에서 :: Lainworks :: Song for Me 흰용의 레어whtdrgon's.. earmme's Solacing P.. 누군가를 위한 자장가 대폭잡식동호회 eggry.lab 여행자의 경계에 선 느.. 한일 아이돌 뒷담화 온.. Ezdragon의 레어 -.. 미르의 신변잡기 천공묵룡의 배틀메이드 .. 찻잔속의 여러 이야기들.. 問答無用 번갯불 그림자 뒤에서 .. 다인의 편의점 이것저것 솔롱고스의 잿빛 골짜기 JAGUAR'S YUM-YUM! 보통사람 Montcalm 씨.. 식빵스러움의 Blog. 링고 [Egloos]MHK:artwork 즉흥소설 팬저의 국방여행 신성마교 제국령 - 제4차.. Nox Rubra Egloos 漁夫의 'Questo e quell.. Neverland 마이너스 원 iD@CKSTER Museum Cafe 보송보송.. 전파상 분가 由衣樂園 Concert Photo 코론의 기록보관소 박애주의 미소녀연맹 Katz! Yellz!! Yeah!!! 수갈단 산하 자폭단 절대무적 보스 나라 내일로 돌아가자 일러스트레이터 슈엔의 .. 현실과 망상사이 The Note of Thirty So.. ButcherBoy WORKSHO.. HotchPotch ~the ruin 찬별은 초식동물 落醉齋 Ayun의 귀차니즘 세상 숲 속 작은 섬 이즈의 夢幻夜想曲 Ala angelicus AquA - ViT The Ninth Star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Ladenijoa의 여러가지.. ★JJ의 잡상노트★ 근무시간은 9시부터 Phantom of the boys ◀역전의 노스페라투▶ 엘다르의 끝나지 않는 노래 막장썰과 머니를 좋아하는.. bono dummy square 전자음악 알아보기 게렉터블로그 아! 내가 류즈이다! 먹으면 큰일납니다 내가 느꼈던 것들의 이야기 노르웨이傳 kevinkan's Memory for.. 가난한 자는 보리밥을 .. Camhanaich 어느 지하 얼음집 Leafgreen 깡갤 일벌레 모나티의 생존전략소 데굴데굴 주사위의 즐거.. 아임 파인 OLD BOY 공포의 에일맥주 양조단 힘세고 강한 블로그 아트걸의 횡설공간 행인1 혹은 갑사1의 놀이터.. 타누키의 MAGIC-BOX SoulTown - Lost soul 자유 흡연실 Hineo, 중력에 혼을 .. 밥먹고 하면 좋아요~ 명랑 문화 공작소's Blog 마미 지켜주고 싶은 블로그 변태중년황금용마족 미.. 파게티짜의 면발은 울지.. ♣ DOMVS...DINOSAV.. ☆:*:.. 대원수부 집무실 .. 기다려지는 11월 Fevermasta\'s Ordinar.. 태리의 無限堂 M의 낙서방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다음 직장은.... 東京みかん 울새의 정원 그라운드 제로 My Life Reason is The.. WHITEOUT 삼룡이네 이글루 게으른 만화쟁이 희망을 찾아 떠나는 여행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 Goddess Office3 Orca의 雜想 note 엽기당주의 정상공간(을.. kihyuni80 의 소소한 이야기 이글루스 시노노메 사츠.. 모두다 grelot KUKS'Ism : 이글루스 지부 Sin hablar. 주간 히토미 이장님의 신도시 복덕방 생산적인 비생산 풍신의 곤과 붕이 날뛰는.. 我行之跡 카페 타나나리브 #include <excepti.. 마지막 시베리아 늑대의.. . METAL SQUAD 캡틴아조의 망망대해 지구 일기 그만둡니다. 그저그런 적절함 Heeut 래빗하우스 순대곱창의 요상 야릇한.. .... Saint Winterer`s Finit.. 쿠로의 안식처 불해집 LoVe Me Do Ladcin의 별장 솔다, 춤을 춰요 ! 기 롯 의 생 활 공 방 전 ! 3인칭관찰자 정신개그 블로그. 아마도? 그러니까 K - Park LVP의 お姉黨舍 - 설.. 벨제브브의 惡魔召喚典書 heinkel111의 模型生活 플랜B로 가자 수줍은 느낌의 미소 Doppelganger egloos NeoType의 일상 칵테일 마풍이 분다 마왕의 17번째 야외 별장.. 녹두장군의 식도락 백돼지님의 이글루 Santalinus의 Puja RuBisCO의 뒷간 버려짐 Myst's Laboratory of .. 생각이 없는 블로그 for rubille 용쨔의 헛소리 한마디 The voice of raindrop 迪倫齋雜想 대체로 무해함 Pony World 세레스티알 Butcherboy WORKSHOP _ 어느 이글루의 자취방 소중한 인연을 위하여.. 전통주 향기 카카루 씨, 아침입니다. 초효의 비밀아지트 고유성 만화방창 進省堂居士의 跆緣齋 키세츠, LNR의 이글루.. 새로운나님의 이글루 밥과술 crisp Sekretam chambrom p.. 공돌이는 공돌공돌해! 여긴 뭔가 잘못됐다 재수없는 하루 5thsun의 세번째 낙서장 키도벨리스트 뉴히스토리아 애들은 가라! 날개달린 선인장 РККА Ставка .. 무늬만 법대생의 이야기들 Federation Headquar.. 자료 저장소 겜프의 주저리 주저리 바탕소리의 낙서장 Shae 硏省齋居士의 雜學庫 이전블로그
2019년 09월
2019년 07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6년 11월 2016년 09월 2016년 07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1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10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7월 2014년 06월 2014년 05월 2014년 04월 2014년 02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1월 2013년 10월 2013년 09월 2013년 08월 2013년 07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3월 2013년 02월 2013년 01월 2012년 12월 2012년 11월 2012년 10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7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4월 2012년 03월 2012년 02월 2012년 01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8월 2011년 07월 2011년 06월 2011년 05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1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3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07월 2005년 09월 2005년 08월 2005년 07월 2005년 06월 2005년 05월 2005년 03월 2005년 02월 2005년 01월 2004년 12월 2004년 11월 2004년 10월 2004년 09월 2004년 08월 2004년 07월 2004년 06월 2004년 05월 2004년 04월 2004년 03월 2004년 02월 2004년 01월 2003년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