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에서 쓸만한 세계지도 소품이라면
징비록에 나온 세계지도는 고증오류입니다.에 이어서

< 마르터 묄터, 1507 >

< 메르카토르 1569 >

< 오르텔리우스 1570 >

제작연도를 보면 임진란이 일어난 1592년에 

풍신수길이 실제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에 들어가지만

이런 지도는 <징비록>에서 쓸래야 쓸 수 가 없습니다. 

위 지도에서 아시아 부분을 확대해서 보면 이렇습니다. 

아예 '조선'이란 존재가 없어요. 

1570년 이전 서양지도에는 조선은 섬도 아니고 아예 존재자체가 없었습니다. 

일본은 큰 섬으로 존재하지만.



이렇게 아시아 부분이 워낙 부실하다보니

조선을 넘어 명을, 명을 넘어 천축국까지 가겠다

풍신수길의 야망을 표현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니 

그렇게 쓰기에는 적절하지 않죠.


< 조선의 천하도지도, 1700년대 후반 >

드라마 <징비록> 소품 원본이 되었을 이 지도는 

아시아 묘사가 뚜렷하기 때문에 그런 연출이 가능한 면이 있죠. 

시대적으로 200년 뒤에 나왔지만 

그런 것 때문에 소품으로 투입되었던 것일겁니다. 

< 곤여만국전도, 1602 >

사실 약 200년 후의 작품임에도 천하도지도는 

곤여만국전도보다 디테일이 좀 떨어집니다. 

하지만 오히려 그 두루뭉술하고 둥글둥글한 외곽선이 

당대에 있을 법한 고지도라는 이미지 연출에는 좋기는 했을거라 생각합니다. 

위도, 경도도 그런 생각으로 의도적으로 제거했겠죠. 


제 생각에 <징비록> 제작진은 

일본은 이미 서양과의 교류를 통해 '세계'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었고 

조선은 성리학에 사로잡혀 우물안 개구리와 같이 시각이 좁았다'

라는 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실제론 그렇게까진 아니었지만)




 드라마 <징비록>에 쓸만한 세계지도는 아예 없는걸까하고 찾아보면

< 일본지도 병풍 >

비슷한 시기에 나온 일본지도 수준이 이렇습니다. 

디테일은 많이 떨어지죠.

근데 이 지도가 의미가 있는게

금박이 입혀진 고급스러운 느낌이 

태합 앞에 두기에는 적절합니다. 

그리고 북해도는 아직 미지의 세계로 인식하고 있던 당시 일본의 인식을 확실하게 엿볼 수 있죠. 
(북해도는 미지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일본이 서양과 교류하며 세계지도에 일본이 반영이 되었어도 
북해도는 계속 생략되고 있었습니다.)


이 지도 병풍을 보면 

병풍 왼쪽 끄트머리를 보면 조선땅이 보입니다. 

그 위로는 구름이 끼어있고 더 이상은 생각하고 싶지 않다는 듯 하지요. 

어차피 주인공이 '일본'인 만큼

지도에서 조선을 다 묘사할 필요는 없겠지만....

이걸 보다보면 아예 이런 '화풍'으로 

새롭게 조선과 중국을 그리는 식으로 해도 될 듯 싶죠.

그렇게 연출을 한다고 하면

병풍을 추가한다거나 가려져 있던 조선과 명을 드러내보이면서

부하들 앞에서 야망을 펴보이는 식으로 할 수 도 있겠고요.



< 세계지도 병풍 >

그리고 세계지도 형태로 투입한다고 하면 이것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이 지도는 '서양식지도죠.

곤여만국전도처럼 아시아가 중심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양과 교류하고 있던 일본'이라는 이미지연출이 가능합니다. 



이것도 역시 병풍이고 금박을 입혀 일본식으로 꾸몄죠. 

남만느낌이 물씬 풍기는 일본식 병풍이라면 

풍신수길 앞에 두기 제격이죠. 



게다가 이 지도는 제작연도가 '불명'입니다. 

그래서 연도에 사로잡히지가 않아요. 

물론

조선이 반도로 붙어있는 걸 볼 때 꽤 아슬아슬하죠. 

최대한 높게 잡아야 1590년대 후반 정도까지 가능해집니다. 

1602년 곤여만국전도가 출현한 이후에는

그것이 동아시아권에서 '세계지도'의 패자가 되버리기 때문에

이후 동아시아에서 제작유통되는 세계지도들은 대개 곤여만국전도의 아류를 벗어날 수 가 없게 됩니다. 

그런데 위 지도는 곤여만국전도의 철학이 전혀 라고 할 만큼 반영되어 있지 않죠. 


그리고 지도 하단부를 보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과 남극대륙의 윤곽이 많이 다른데

사실

곤여만국전도나 천하도지도에서 

등장하는 남부의 '묵와랍니가'의 정체는

서양인들이 아직 탐험해보지는 않았지만 

남쪽에 거대한 대륙이 있을것이라는 관념적 대상으로 그려진 남대륙입니다. 

'묵와랍니가'라는 음차자체가

'마젤라니카'에서 온거거든요. 

Magellanica

마젤란의 땅.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남아메리카 끝을 통과하면서

전설상의 남부대륙에 가장 가깝게 항해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그런 이름이 붙게 된거죠. 



1533년부터 1640년대까지 제작된 서양식 지도에는

이 관념상의 남대륙이 꾸준히 그려지는데요

유럽인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을 처음 발견한 1606년 이후부터는

대략의 윤곽이 잡혀나가면서 조정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 프레드릭 위트, 1665>

이 시점이 되면 '호주'의 해안선이 뚜렷하게 그려지기 시작합니다. 


근데 그 탐험의 내용을 모르는 조선에서는

제임스쿡이 오세아니아를 누비고 다니는 와중에도 

곤여만국전도로 터잡아

여전히 '묵와랍니가'가 담긴 천하도지도를 그렸던 것이고요. 


 

그러니까 지도상에 존재한 '묵와랍니가'는 관념상의 남대륙일 뿐이지

정확하게 '오스트레일리아'나 '남극'을 지칭하는건 아닙니다.

그래서 이 지도병풍이 다소 유리한 면이 있는 것입니다. 

곤여만국전도(1602년)의 영향권에서 자유롭고

오스트레일리아 지리상의 발견(1606년)을 기준으로 하면

여전히 관념상의 남대륙이 표현된 서양식 지도이기 때문에

 무리하게 집어넣으면 아슬아슬하게 넣을 수 는 있는 수준이 된다는 거죠. 



물론 이것도 여러가지 따지다보면 무리가 있긴 합니다. 

1606년 호주에 최초 도착했다고 해도 아주 일부분에 불과했기 때문에

1640년대 쯤이 되어야 대략의 윤곽이 나옵니다. 

여기선 제작연도가 '불명'이라는 점이 역으로 작용해서

1640년대까지도 확장될 수 있는 것이기도 하죠. 

하지만 

1700년대 후반 조선제 세계지도를 1592년 무대에 등장시키는 것보다는 훨씬 (...)


다른 단점이라면

족자에 비해 병풍의 제작비용은 많이 들어가는게 사실이고

거기에 금박느낌까지 살리려고 하면 아무래도 그 만큼 비용이 더 들어가겠죠;

예산 때문에 생략에 생략을 거듭하는 제작진 입장에서 그렇게 공들이기도 힘들겁니다. 

사실 천하도지도를 써먹은 것만 해도 나름 신경은 쓴거겠죠;

두고두고 쓸거면 모를까 몇 번 쓰지도 않을거 그렇게 공들이긴 좀 그렇고....

존재한다면 차라리 일본에서 만들어서 써먹어야하는 소품이니까요.


천하도지도는 사실 좀 아깝습니다. 

어차피 세계지도에 위도 경도 반영하는 것은 당대에는 당연한 정도의 일이었고

나중에 정조 시대 드라마 제작할 때 조선의 과학수준을 이야기하기에 좋은 소품이니까

그렇게 또 써먹을 수 도 있잖아요. 


by MessageOnly | 2015/04/07 00:34 | ■ 다른게 또 뭐있나.. | 트랙백 | 덧글(18)
트랙백 주소 : http://larca.egloos.com/tb/4077397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Commented by Megane at 2015/04/07 15:25
오호... 이렇게 세부적으로 지적해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7 23:02
감사합니다. 제가 아는 한반도의 최초기록은 1607년의 혼디우스 요도쿠스의 굉장히 길다란 모습인데, 1570년이전에는 없었다는 건 몰랐군요.
http://www.myartprints.co.uk/kunst/jodocus_hondius/thm_china_c1607_coloured_engraving_hi.jpg
Commented by MessageOnly at 2015/04/09 00:37
그것은 아마도 '한반도'로 정리를 하셔서 그런 것 같군요.

이전에는 조선이 서양지도에 그려질 땐 '섬'으로 그려졌습니다. 반도로 인식조차 되지 않고 있었죠.

http://4.bp.blogspot.com/-J9VSVT525pk/UIhk2KNM38I/AAAAAAAAAJU/05UHQD6KysM/s1600/800px-1594_Orbis_Plancius_2,12_MB.jpg

조선(한반도)가 서양지도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현재까지는 위 지도가 최초라고 인정받고 있습니다. (1594)

* 1595 오타확인 후 수정했습니다. 1594가 맞습니다.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0:46
이런 흥미로운 구절이 있네요 http://www.gutenberg.org/files/39867/39867-h/39867-h.htm#f96

"The purchase of a pair of these globes, that of 1599 and of 1603, was reported in the year 1885 by Dr. Baumgärtner,31 who refers to them as having a diameter of 34 cm., as being well mounted and artistically colored. On the first, he notes, are represented sea monsters swimming in the oceans, and the natives of many of the little known regions appear in picture, as, for example, in the region of Patagonia, near which appears the legend, “Patagonae regio ubi incolae sunt gigantes.” “The region of Patagonia where giants live.” Greenland is laid down as a small island, as is also Corea. "

말씀대로 한국이라는 존재를 인식은 하되, 섬으로 알고 있었군요.
Commented by MessageOnly at 2015/04/08 00:39
http://www.swaen.com/item.php?id=17304

첫 덧글에서 링크하신 지도는 이거 아닌가요? 1633년으로 확인됩니다.

이 지도에서조차 반도가 아니라 섬입니다.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0:56
실시간 댓글이 되고 있네요 ^^

말씀하신 자료는 여기서 (요도쿠스의 생몰년도는 1567~1612년입니다).
https://www.bridgemanimages.com/en-GB/asset/111077/hondius-jodocus-1567-1611

그리고 1595년의 경우, 역시 확실히 Corea가 기록되고 있군요.
http://www.allposters.com/-sp/Map-of-Tartaria-from-Mercator-s-Atlas-C-1595-Posters_i10057627_.htm
Commented by MessageOnly at 2015/04/08 00:43
1611년 지도를 봐도 이때부터는 반도로 정확히 파악했던것 같습니다.
http://www.gutenberg.org/files/39867/39867-h/images/f96.jpg

↑ 위 지도는 북아메리카 지도입니다. 왼쪽에 튀어나온 것은 캘리포니아 오른쪽에 튀어나온 것은 플로리다 입니다.

플로리다 아래에 있는 것은 쿠바이지 일본열도가 아닙니다.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0:46
아, 그건 완벽한 착시였네요. 댓글중 그 부분을 지워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Commented by MessageOnly at 2015/04/08 01:08
https://www.bridgemanimages.com/en-GB/asset/111077/hondius-jodocus-1567-1611

예. 1607년 지도가 맞습니다. 위 답글내용은 재판한 것을 잘못 이해한 것이네요.

덧붙여 말씀드리면 그 지도속에서는 완전한 반도가 아닙니다.

1607년판의 인식이 1633년판까지 유지되었던 것이죠.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1:42
네 그런것 같습니다. 반도도 아니고 섬도 아니고 (제 눈에는) 어정쩡한 모습인데, 16세기말-17세기초에 확실히 반도로 묘사되는 듯 지도들도 등장하는 듯 합니다.

1596년의 이 Plancius 지도에는 확실한 반도로 묘사되어 있지만, 또 더 후대의 지도에는 섬으로도 아직 표기되는등 정립되지 않은듯합니다.
http://www.swaen.com/item.php?id=14618 (확대가능)

이 사이트에서는 이 지도가 '확실하게 Corea 지명을 실고' '반도로' 묘사한 최초자료라고 되어 있네요. 따라서 제가 알고 있던 기존상식인 요도쿠스의 최초 한국지도설은 틀렸음을 알수 있었습니다.
The 1594 edition was published separately and no copies are known to exists; making this edition of Plancius world map
the first obtainable map making reference to "Corea". Showing Korea as an peninsular.
Commented by MessageOnly at 2015/04/09 00:41
처음 답글에 링크한 지도가 해당 사이트에서 이야기하는 1594년판일것입니다.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0:51
찾아보다 보니 한가지 의문점이 들어 제보를 드립니다.
이글을 보면 베르나드 실바누스(Bernard Sylvanus, 베네치아)의 1511년 지도에 한국이 그려져 있습니다.
http://www.tongilnews.com/news/photo/201305/102733_31737_620.jpg

그리고 1528년 이탈리아 베네치아(베니스)에서 베네데토 보르도느(Benedetto Bordone, 1460~1531)에 의해 제작된 세계지도에도 있었네요.
http://www.tongilnews.com/news/photo/201305/102733_31731_2953.jpg

http://www.tongil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102733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 링크글을 올려드립니다.
Commented by MessageOnly at 2015/04/08 00:15
링크된 '통일뉴스'는 국뽕을 한가득 들이킨 곳이니 조심해서 보셔야합니다.

저건 그냥 툭 튀어 나와 있는 거 보니 '한반도'가 틀림없네?! 이런 수준의 이야기에요.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1:10
저 역시 통일뉴스의 기사내용자체는 신경쓰지 않습니다 ㅎㅎ. 다만, Benedetto Bordone 라든가 Bernard Sylvanus의 생몰년도는 명확하므로, 만약 저 지도들이 그들의 것이라면 살펴볼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 Benedetto Bordone의 지도는 corea 라는 지명이 적혀있는 것 같아 흥미롭습니다. 다만(! 이 아니라 절대로) 필요한 작업은 저 링크뉴스의 지도들이 정말로 이들의 것인가 하는 검증입니다.

만약 이들의 지도가 맞다면 의미가 분명 있겠습니다. 아니라면 통일뉴스의 기사는 아예 기본도 안된 글들이겠구요 ^^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1:02
글을 쓰고 궁금증이 일어 Bernard Sylvanus의 지도들을 찾아보고 있는데, 저 기사의 발췌부분(한국이라 쓰인)은 아직 보이지 않는군요. 이런 뉴스가 틀렸다는 것이 바로 사료의 정확한 출처를 대지 않는다는 점 같습니다. 무슨 지도의 어느 부분인지도 밝히지 않으니.

보르도느지도는 찾아보니 그의 지도가 맞긴합니다만, 말씀대로 툭 튀어나온 (비슷해보이긴 합니다만 직관적으로) 부분만 있어 한반도라고 확신할수는 없어 보입니다. 추후 Bernard Sylvanus의 저 지도가 나오면 알려드리겠습니다.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8 01:34
늦은 밤 죄송합니다. -_-
이 글이 마지막입니다.

아래 Bernard Sylvanus의 지도(1511)를 보니, 굉장히 애매하게 섬과 반도의 경계정도로 표현하고 있는듯도 한데 오른쪽에 튀어나온 곳에 "Ton Zo Pro"라는 뜻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조선이 아니면 일본일수도... (오른쪽바다에 중국xx정도의 것으로 보이는 글귀는 보입니다만). 다만, 저 뉴스기사에 나오는 지도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그렇다면 통일뉴스측에서 최소 실바누스의 '반도모양과 corea가 적힌' 지도는 확인불가의 그릇된 정보를 실은 것으로 현재까지는 파악해야 할 듯 합니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6/Sylvanus_map_1511.jpg
Commented by MessageOnly at 2015/04/09 01:12
해당 지도에서 튀어 나온 부분은 중국남부로 추정합니다. 통일뉴스에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지고 장난치는 거에 휘둘리셔서 튀어나온 부분을 한반도가 아닐까에 호의적으로 생각하시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러면 그 튀어나온 부분의 건너편은 '중국'이어야한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통일뉴스에서 마치 중국인것처럼 몰고가는 지역은 중국이 아니라 '말레이반도+인도차이나'지역입니다. 말레이반도 맞은 편에 알려지지도 않은 조선이 들어간다는게 더 말이 안되죠.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대로 서양의 권위있는 지도제작자들이 조선이라는 존재자체를 인식하고 반영한 과정을 보면 시기적으로 맞지가 않죠. (정보가 무시되었다고 생각할 수 도 있겠지만 해당지도가 갑자기 발견된 그런 물건도 아니고 지도제작발전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일 따름입니다. 정보가 추가되면 반영되는 식으로 수백년간 발전한 도상이고 연관없이 외따로 만들어진게 아닙니다.)

Tonzo provincia 가 무얼 말하는지는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만, 한반도나 일본은 확실히 아니다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순 있습니다.

Commented by 역사관심 at 2015/04/09 03:49
아 그렇군요. 사실 기사자체는 저도 신빙성이 없어 읽어보지도 않았습니다. 휘둘렸다기보다는 이런저런 찾아볼 만한 정보가 눈에 띄어 제보드리는 차원이었습니다.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잘 배우고 갑니다. =)

:         :

: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비공개 덧글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