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자형 태극기
족자형 태극기
태극기의 차이가 느껴지십니까?
이런 기사가 떴는데요.
다 필요없는 이야기고,
핵심에 밑줄 그었습니다.
우리는 '액자'라는 표현에 주목해야합니다.
태극기를 게시하고 있는 것이 잘못이라는 것이 아니라
'액자'가 잘못이라는게 중점이에요.
태극기를 '액자'에 넣지 말라.
'액자에 국기를 넣어서 실내에 게시하는 것'이 일제의 잔재라는 것이지
'국기를 실내에 게시하는 것'이 일제의 잔재라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이것도 좀 웃기긴한데, 아무튼.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대놓고 '정부권장형' 태극기라고 해서 팔고 있습니다.
실내게시용으로 이런 '족자형'으로 사서 다세요~ 이런겁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액자'와 대비되는 '족자'를 제목에 넣었는데.
'좌우보필형'이 법령에 나온 정식명칭입니다.
그런데 바로 이해가 잘 되는 편은 아니라서 편의상 '족자'라고 한겁니다.
이하에서도 '족자'라고 할게요.
액자 → 족자
이렇게 바꾸라는 것이지
'태극기'자체를 교실에서 치워라가 아닙니다.
그것을 원하는 부류가 존재하는 것도 역시 사실일테지만,
저 경기도 교육청의 가정통신문에서 나타난 내용은
'액자'형 태극기를 치우고 '족자형'으로 교체하라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실내 게시용도의 태극기는
액자 X
족자 O
2021년 다른 지자체에서도 이런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음을 다른 보도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 사업(액자 →족자) 자체가
고시번호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이게 2002년부터 시작되었는데
2021년 현재에도 '액자'형태로 유지되고 있는 곳이 아직도 많다는 겁니다.
미국의 사례를 들어서
국기가 교실에 있는게 무슨 일제의 잔재냐 라는 반응도 있는데요.
태극기는 교실에 있어도 됩니다.
교실에 태극기를 두고 안두고가 논란의 핵심이 아니라
문제는 '액자'라는 겁니다.
'액자'
'액자'에서 '족자'로의 교체가 아니라 이번 논란을 이용해서
태극기 자체를 교실에서 치우려는 행동으로 이어진다면 그 단계에서는 문제시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봅니다.
그 단계의 문제가 아니라면 교실같은 실내에 태극기를 게시할 때
정부에서 권장하는대로
게시하는 것이 옳지않겠습니까